니체/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서문 의역

차라투스트라 - 서문 8장 의역 (완2)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BTO 2024. 5. 20. 16:17

ㅡ소개

더보기


이하 내용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내용을 보다 쉽게 읽히게끔 의역한 내용입니다.
기존 내용을 좀 더 풀어서 쓴 거라서, 기존 직역본을 읽으면서 참고해서 보시면, 이해하는 데 좋다고 생각됩니다.
 
의역 내용 밑에는 생각해볼 것들에 대해서 적어두었습니다.
이것들은 직역본을 본 후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필요시 참고 바랍니다.
 
ㅡ의역시 참고한 것들
기본적으로 온라인에 등재된 독일어본과 영어본을 참고했는데, 영어본에 대한 정보만 있네요.
해석에 대한 초벌 번역은 ai를 활용했습니다.
 
- 독어본 :
Pileface 사이트의 자료

 

https://www.pileface.com/sollers/pdf/Zarathustra.pdf
Internet Archive 사이트의 자료
https://archive.org/details/alsosprachzarat00nietgoog/page/60/mode/2up?view=theater

 
- 영어본 :
Thomas Common의 번역

https://www.gutenberg.org/files/1998/1998-h/1998-h.htm#link2H_4_0012

 
-  AI

Chat gpt 4

 
- 한국어 번역본도 참고 했습니다.

백승영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이진우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윤순식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백석현(박성현) : 짜라두짜는 이렇게 말했다
김신종 : 깨진 틈이 있어야 그 사이로 빛이 들어온다

 
- 제 의역에서 활용하기는 어려웠지만, 한국 해설본도 참고 하였습니다.

백승영 : 니체는 이렇게 말했다
정동호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해설서
김동국 : 아무도 위하지 않는, 그러나 모두를 위한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by 취미로 철학하는 남자

 


서문 8장


 
서문 8장 개괄

 
 
8장은 위버멘쉬를 향하는 자들에게 주어지는 사람들의 모습에 대해서 담고 있다.
 
먼저 광대는 위버멘쉬로 나아가는 자들을 괴롭히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
다음으로 묘지기들은 위버멘쉬로 나아가는 자들을 저주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
마지막으로 노인은 위버멘쉬로 나아가는 자들을 돕는 선한 자처럼 보이지만, 결국에는 자신의 선행을 쌓기 위해 위버멘쉬를 이용할 뿐, 그들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는 존재이다.
 
이에 따라서, 위버멘쉬 곁에는 협력자/지원자가 거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물론 이러한 외로운 상태는 차라투스트라의 여러 부분을 거쳐 언급된다.


 

6장부터는 차라투스트라가 메시지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상징을 통해서 표현하므로, 
번역과 함께 의역을 남깁니다.


 
 

번역

 

차라투스트라는 생각을 마친 후, 죽은 곡예사를 등에 지고 길을 떠났다.
얼마가지 않아 누군가 다가와서 차라투스트라에게 속삭였다.
그는 곡예사를 떨어뜨렸던 그 광대였다.
 
광대가 말했다.
    “차라투스트라여, 이 도시를 떠나라. 
     이곳에는 너를 미워하는 사람이 많다.
 
     사회적으로 선하고 정의롭다 여겨지는 사람들은 너를 반사회적인 존재로 보고 있고,
     신실한 사람들은 너를 반종교적인 위험인자로 보고 있다.
 
     사람들이 아까 너를 보고 비웃기만 한 것을 다행으로 여겨라.
     사람들이 네 말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헛소리를 하는 광대 쯤으로 여겼으니
     너에게 화가 미치지 않았던 것이다.
 
     죽은 곡예사 곁을 떠나지 않고 그와 함께 했던 것도 좋은 선택이었다.
     곡예사와 어울리는 천한 존재로 너 자신을 낮췄으니, 너는 오늘 살 수 있었던 것이다.
 
     오늘은 운이 좋아서 살아있는 것일 뿐,
     내일은 내가 곡예사에게 그랬던 것처럼 너를 죽일 것이다.
     그러니 당장 이 도시를 떠나라.”
 
광대는 그렇게 말하고 사라졌다.
차라투스트라는 묵묵히 어두운 골목길을 걸어갔다.
 

차라투스트라를 겁주는 광대
차라투스트라는 광대를 무시하고 계속해서 나아간다.


 
도시의 성문에서 차라투스트라는 묘지기들을 만났다.
묘지기들은 다가오는 존재가 누구인지 확인하려 횃불을 들어 차라투스트라를 살폈다.
그들은 그가 차라투스트라라는 걸 알아차리더니 그를 조롱하기 시작했다.
 
    “차라투스트라가 죽은 개*를 데려가고 있구만!
     묘지기가 다 되었어!
     우리 같은 이는 저 곡예사를 다루기에는 깨끗한 존재들이지.

*줄타기 곡예사가 개라 불리는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생각을 해 본다면, 개는 사람들 사이에서 지내는 존재, 사람들에게서 먹이를 구하거나 혜택을 받는 존재로, 인간에게 의존하던 존재로 취급하는 듯하다.
또는 하찮은 존재로 보는 듯하다.

 
     그런데 차라투스트라는 왜 저 자를 손수 묻어주려고 하지?
     죽은 곡예사를 악마에게서 빼앗으려는 것일까?
     곡예사는 악마에게 가야 하는데 말이지*.

*곡예사는 사회적 규율을 벗어나는 시도를 했기 때문에, 악한 행동을 한 것으로 취급된다.
그에 따라서 지옥으로 끌려가야 하는데, 차라투스트라는 이 곡예사의 행동이 선하거나 악한 것이 아니라고 말하며 곡예사를 구원한다.
이러한 양상에 대해서 묘지기들이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과연 차라투스트라가 악마에게서 이 자를 빼앗을 수 있을까?
     차라투스트라가 악마에게서 훔칠 수 있는 도둑이기를!
     하지만 악마라면, 차라투스트라와 곡예사 이 둘을 모두 지옥으로 데려가지 않을까?*”
묘지기들은 서로의 머리를 맞대며 웃었다.

*묘지기들의 입장에서, 차라투스트라와 곡예사는 모두 사회적 규율을 벗어난 이들이다.
그렇기에 지옥에 끌려가야 하는 존재가 된다.

 
차라투스트라는 그들의 조롱에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길을 걸어갔다.
 

성문을 지나는 차라투스트라
묘지기들이 그를 조롱했지만, 그는 역시 묵묵히 걸어간다.


 
굶주린 늑대 소리를 들으며 두 시간 정도 숲과 늪을 지나갔을 때, 차라투스트라는 허기를 느꼈다.
그때 불이 켜진 외딴 집이 눈에 들어왔고, 차라투스트라는 그 집 앞으로 갔다.
 
차라투스트라가 말했다.
    “배고픔이 강도처럼 갑자기 나를 습격해 오는구나.
     그것도 숲과 늪에 있는 깊은 밤에 말이다.
     배고픔이란 것은 참 기묘한 것 같다.
     식사 때를 놓치면 느껴지곤 했는데, 오늘은 하루 종일 느껴지지 않았으니 말이다.
     도대체 왜 그런 것일까?”
 
차라투스트라는 외딴 집의 문을 두드렸다.
그러자 한 노인이 등불을 들고서 나타났다.
 
노인이 말했다.
    “겨우 잠들었는데, 당신들은 누구요?”
 
차라투스트라가 말했다.
    “살아있는 자와 죽어있는 자입니다.
     먹을 것 좀 나눠 주실 수 있으십니까?
     하루종일 먹지도 마시지도 못하고 있었습니다.
     ‘배고픈 이에게 음식을 나눠 주는 자는 복되다’라고 하지 않습니까?
 
노인은 집 안으로 다시 가더니 곧 돌아와 차라투스트라에게 빵과 포도주를 나눠주었다.
 
노인이 말했다.
     “이곳은 배고픈 사람에게는 나쁜 지역이지.
     그래서 내가 여기에 사는 것이오.
     그들을 도우면서 덕을 쌓으려고 말이지.
     그걸 알고 배고픈 동물과 사람이 나에게 온다네.
 
     그런데, 자네의 길동무도 먹고 마시게 하게.
     자네보다 지쳐 보이는군.”
 
차라투스트라가 말했다.
    “내 길동무는 이미 죽었습니다.
     그래서 그에게 먹일 수는 없을 것 같군요.
 
노인이 퉁명스럽게 말했다.
    “그건 내 알 바가 아니지.
     내게 도움을 요청한 사람은 내가 제공하는 것을 받아야만 하는 거니까*.
     먹고 잘들 가시게!”

*노인이 숲에 머무는 이유는 도시를 벗어난 자들에게 선행을 쌓기 위함이다.
따라서 자신이 선행을 하기만 하면 되고, 그것을 받아들이는 자가 어떤 상태인지는 무관심하다.
 

숲에 이른 차라투스트라
그는 숲에 들어서면서 하루종일 느끼지 못했던 허기를 느끼게 된다.


 

 
이후 차라투스트라는 별빛에 의지해 다시 두 시간을 걸었다.
그는 밤에 걷는 일에 익숙했고, 잠든 세상을 바라보는 것을 좋아했기 때문이다.
 
아침이 되자, 차라투스트라는 깊은 숲 속에서 길을 잃었다.
피곤해진 그는 늑대들이 곡예사의 몸을 건드리지 못하게 나무 구멍 속에 놓았고, 자신은 이끼 위에 누웠다.
 
몸은 피로했지만, 그의 영혼은 평온했다.
그렇게 누운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그는 곧 잠들었다.
 
 

잠이 든 차라투스트라
죽은 곡예사는 속이 빈 나무에 숨겨두고, 잠을 청하게 된다.


의역

 
 
위버멘쉬로 살아가는 것은 분명 쉬운 일이 아닙니다.
사람들 사이에 있다면, 늘 조롱과 협박, 무관심 속에서 살아가게 되니 말입니다.

사람들 중 일부는 올바름을 추구하는 자를 반사회적/반종교적이라고 여겨서 내쫓거나 처벌하려고 합니다.
 
또 다른 일부는 올바름을 추구하는 자의 처지를 조롱하고 저주합니다.
올바름을 추구하는 자가 사람들 사이에서 미움 받고 있다는 것을 늘 언급하며 괴롭히고, 우리가 언젠가 지옥에 빠질 것이라는 저주를 하는 겁니다.

올바름을 추구하는 자를 돕는 자가 있더라도, 그들은 돕는 행동에 목적을 두지 올바름을 추구하는 자를 안타깝게 여겨 그런 것이 아닙니다.

그저 불쌍한 자들을 돕는 자신들에게만 관심이 있을 뿐입니다.

 

이처럼 세상은 올바름을 추구하는 자에게 호의적이지 않습니다.

 

사람들 사이에 있는 차라투스트라

사람들은 차라투스트라를 적대시하며 배척하거나 처벌하려고 한다. 


생각해볼 거리들

 
광대는 왜 나타나서 차라투스트라에게 속삭였을까?
ㅡ 광대는 차라투스트라를 조롱하기 위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ㅡ 광대는 위버멘쉬가 되는 방향으로 나아가다가 포기한 자들이다.
ㅡ 그런데 위버멘쉬로 향하는 차라투스트라와 곡예사가 나타났다.
ㅡ 그러므로 그들의 성공을 방해해야 했고, 그들을 농락하고 싶었던 것으로 보인다.
ㅡ 따라서 광대는 차라투스트라를 조롱하고 싶었기에, 나타나서 차라투스트라의 처지를 가지고 농락한 것으로 보인다.
 
왜 사람들이 비웃은 것이 다행일까?
ㅡ 사람들이 차라투스트라의 이야기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것을 말한다.
ㅡ 만약에 진지하게 받아들였다면, 차라투스트라는 반사회적/반종교적 인물로 취급되어 처형당했을 수 있다.
 
왜 차라투스트라는 광대처럼 말했나?
ㅡ 사람들 앞에서 말도 안되는 것을 진리라 여기며 진지하게 말하는 모습이 사람들에게 웃기는 말을 한다고 여겨진 것 같다.
 
왜 곡예사는 죽은 개로 취급되나?
ㅡ 개에 대한 해석이 어려운데, 이를 위해서 찾아보면, 「유고 (1882년 7월~1883/84 겨울)」에서 다음과 같은 표현을 찾을 수 있다.
          7[42]
          맹수와 원시림은 포악함이 매우 건강한 것이 될 수 있으며 신체를 훌륭하게 발전시
          킨다는 것을 증명해준다.
          맹수류가 내적인 고통에 시달렸다면 벌써 오래 전에 발육이 위축되고 변종되었을
          것이다.
          (그토록 많이 불평하고 낑낑거리는) 개는 맹수의 변종이다.
ㅡ 이 표현을 통해서 보면, 개라는 존재는 맹수가 아닌 존재, 불편감을 느끼지만, 건강하지는 않은 존재로 파악할 수 있다.
ㅡ 앞서 7장에서 줄타기 곡예사를 표현할 때, 자기 확신이 없어서 광대와 같은 포기자들의 위협에 흔들렸다고 말했던 부분이 있는데, 이와 맞닿아 보인다.
ㅡ 즉 줄타기 곡예사는 맹수는 아니었기 때문에, 위버멘쉬로 나아가는 줄을 제대로 타지 못하고 실패한 것이다.
ㅡ 이런 점에 따라 곡예사는 개로 취급이 되는 듯 하다.
 
왜 곡예사와 함께한 것은 자신을 낮춘 것이 되나?
ㅡ 곡예사란 인물 자체만 보면, 그와 함께하는 것이 자신을 낮춘 것은 아니다.
ㅡ 하지만 곡예사가 위버멘쉬로 나아가는 자라고 본다면, 그는 실패자이고, 따라서 그와 함께 하는 차라투스트라는 마찬가지로 실패자와 어울리는 존재가 된다.
ㅡ 그러므로 선지자처럼 이야길 하긴 했지만, 결국 실패자와 어울린다는 점에서 자신을 낮춘 모양새가 된 듯하다.
 
묘지기들은 왜 차라투스트라가 묘지기 노릇을 하는 것을 보며 잘 되었다고 하나?
ㅡ 묘지기나 시민들에게는 줄타기 곡예사는 반사회적/반종교적 시도를 저지른 자가 된다.
ㅡ 그런 점에 따라서 악한 존재가 되는데, 그에 대한 처리를 대신 해주므로 좋다고 여기는 듯 하다.
 
죽은 곡예사는 왜 구운 고기가 되나?
ㅡ 이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생각해 보면 이렇다.
 
ㅡ 죽은 곡예사는 반사회적/반종교적 시도를 저지른 자다.
ㅡ 따라서 악마가 지옥으로 끌고 갈 대상이다.
ㅡ 즉 악마의 먹잇감인 셈이다.
ㅡ 이를 구운 고기라 칭한 것 같다.
 
묘지기들은 왜 죽은 곡예사를 만지기엔 자신들이 깨끗하다고 했나?
ㅡ 그들은 사회적/종교적 규율을 잘 따르고 있기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
ㅡ 그래서 만약 죽은 곡예사의 장례를 잘 치뤄주면, 반사회적/반종교적 인물에게 잘 해준 것이 되므로, 부정이 탄다고 여긴 것 같다.
 
차라투스트라는 왜 악마에게서 한입을 훔치려고 한다는 이야기를 들을까?
ㅡ 악마가 데려가야 할 존재를 차라투스트라가 악마가 데려가지 못하게끔 하려고 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왜 악마는 차라투스트라와 곡예사를 둘 다 먹어 치울 거라고 하는가?
ㅡ 차라투스트라와 곡예사 둘 모두 반사회적/반종교적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차라투스트라는 왜 배고픔이 변덕스럽다고/기묘하다고 말할까?
ㅡ 차라투스트라는 배고픔을 통해서, 배고픈 상태와 배고픈 상태에 대한 자각이 다를 수 있음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ㅡ 그런 면에서 이는 신체와 정신에 대해서 논하는 「차라투스트라, 1권 4장」과 관련된 구절로 보인다.
 
노인은 누구인가?
ㅡ 노인은 선행을 베풀기 위해서 도시 외곽에 나와있는 존재로 보인다.
ㅡ 이는 곧 천국에 이르기 위한 활동의 일환으로 보여 진다.
 
ㅡ 노인은 선행을 쌓는 것을 중시한다는 점은 죽은 길동무에게 선행을 강제하려고 하는 부분에서 알 수 있다.
ㅡ 그는 상황이 어떻든 간에, 자신의 활동이 선행으로 인식될 수 있게 하라고 하기 때문이다.
 
ㅡ 여기 나오는 노인을 예수로 보기도 하던데, 정확한 근거가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
 
차라투스트라는 왜 밤길을 걷는 것에 익숙하고, 잠든 것들을 보는 것을 좋아하나?
ㅡ 밤길을 걷는 것은 밤에 활동한다는 이야기로 보인다.
ㅡ 잠들어 있는 것들을 보기 좋아하는 것은 고요한 세상을 바라보고 싶어서 그런 것 같다.